안녕하세요 이슈요정입니다 5월이 도래했는데요 5월은 종합소득세의 달입니다. 그런의미에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려고 한다면 처음하시는 분들은 굉장히 어려움에 부딪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럴때 세무사를 쓰면 좋지만 소득이 낮거나 혹은 혼자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도와드릴 방법으로는 가장 대표적으로 쉬운 국세청에 전화해서 문의하기가 있습니다. 그래서 알아보는 국세청 고객센터 상담하기에 대한 글입니다. 번호도 번호지만 쉽게 접근하는 법을 몇가지 설명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시간을 단축해서 문의를 빠르게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리 앞서 말하면 5월은 종합소득세의 달이므로
종합소득세 상담은 국세청 고객센터
126 > 5번 종합소득세 관련상담 > 1번 홈텍스 전자신고 or 2번 종합소득세 세법상담을 누르시면 편리합니다.
국세청 고객센터
일단 국세관련 모든 상담은 국번없이 126 입니다. 일반통화요금이 적용됩니다. 업무시간은 평일 9시부터 오후6시 까지 국세청 고객센터가 영업하는 시간입니다. 다만 탈세제보의 경우 24시간이 상담 가능하다고 합니다. 국세청에서는 전화 이외에도 서면이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탈세 신고나 상담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넷 국세청은 www.hometax.go.kr입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전화 국세청 고객센터를 통한 상담이 좀 더 쉬웠습니다. 팩스 등의 다양한 방법도 있습니다. 해외에서 126 상담전화를 이용할 시에는 통신사별로 국제전화번호 그리고 대한민국 국가번호와 126을 누르시면 가능합니다. 예를들어서 미국에서 전화하는 경우에는 001 > 82 > 126 이렇게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조금 더 쉽게 국세청 고객센터 이용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국세청 고객센터 번호는 126이지만 자세한 메뉴를 알고가시면 좀 더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차 선택으로 1번 홈텍스 상담을 눌러주시고 2차 선택 에서 1번 현금영수증 2번 전자세금계산서 및 보안카드 3번 신고 및 납부 4번 학자금 상환 5번 연말정산간소화 6번 사업자등록 신청 및 정정 7번 증명발급 및 기타 세무서류 9번 상담시 개인정보 조회를 위한 ARS비밀번호 등록 입니다. 2번 전자세금계산서 및 보안카드를 문의시에는 3번째 선택으로 1번 상담사연결, 2번 세법상담 세무서 3번 ARS 발급및 조회 4번 FAQ가 나옵니다. 3번 신고 및 납부에 대해서 문의했을때는 3차 선택으로는 1번 양도,증여, 종부 2번 원천,종소, 지급명세서 3번 부가, 법인,기타 4번 인지세 를 누를 수 있습니다. 5번 연말정산간소화의 경우 3차선택으로 1번 세법상담 2번 홈페이지 문의가 있겠습니다. 쉽게 요약해서 설명하자면 전자세금계산서 및 보안카드에 대해서 질문할 경우에는 126 > 1번>2번 >1번(상담사연결) 이게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1차 선택에서 세법상담을 원하실경우에는 126 > 2번을 누르는게 맞습니다. 세법상담의 경우 2번을 누르고 나서 1번 양도소득세, 증권거래세, 종합부동산세 2번 부가가치세 3번 연말정산,원천세 4번 종합소득세, 근로 자녀 장려세제 5번 법인세 6번 국제조세 7번 상속,증여세 8번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국세기본법,징수법 9번 세정에 관한 건의 불만 칭찬 0번 기타 세무상담 입니다.
국세청 고객센터
126 > 3번 각 세무서 납세자보호담당관실 연결
126 > 4번 탈세 등 각종 제보 탈세신고,신고상담, 보상금 안내 등
126 > 5번 종합소득세 관련상담
> 1번 홈텍스 전자신고
> 2번 종합소득세 세법상담
126 > 6번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관련 상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로 결제 택시 분실물 찾기 방법 (0) | 2020.11.25 |
---|---|
번아웃 증후군 테스트 뜻 극복 (0) | 2020.10.06 |
넷플릭스 시청 기록 삭제 (0) | 2020.05.04 |
마스크 5부제 요일 언제 (0) | 2020.03.05 |
국민연금 운용 수익률 성과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