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정보화 사회 컴퓨터 보안

반응형

정보화 사회와 컴퓨터 보안
컴퓨터 범죄
소프트웨어, 웹 컨텐츠, 전자문서의 도난 및 불법 복사, 타인의 하드웨어나 기억매체에 기록된 자료를 소거하거나 교란시키는 행위를 말하며 컴퓨터 시스템 해킹으로 인한 중요 정보의 위- 변조, 삭제, 유출 컴퓨터 바이러스 제작 및 유포
컴퓨터 범죄의 예방 및 대책으로는 해킹 방지를 위한 보안 관련 프로그램을 보급하고, 보안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 보호 패스워드를 시스템에 도입하고, 패스워드를 수시로 변경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자동 업데이트 기능 설정 의심이 가는 메일이나 호기심을 자극하는 표현 등의 메일은 열어보지 않음 보안 등급 NCSC에서 제안한 것으로 D(최하위)→C1→C2→B1→B2→B3→A1(최상위)까지 모두 7단계로 구성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시스템 및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의 수준을 평가 KISA=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에서 제정한 등급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 보안을 위협하는 주요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단 웜, 해킹, 트로이목마, 백도어 웜(Worm)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자신을 복제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높여 결국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바이러스의 일종 해킹(Hacking) 이란 컴퓨터 시스템에 불법적으로 접근, 침투하여 시스템과 데이터를 파괴하는 행위 트로이 목마(Trojan Horse)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프로그램 내에 숨어 있다가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활성화되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자기 복제 능력은 없음 백 도어(Back Door)는 서비스 기술자나 유지보수 프로그래머들의 액세스 편의를 위해 만든 보안이 제거된 비밀 통로이다. 정보화사회 컴퓨터 보안에서 방화벽이란 내부로 들어오는 패킷은 인증된 패킷만 통과시키는 구조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의 통로를 단일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외부의 불법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내부로부터의 불법적인 해킹은 막지 못함 역추적 기능이 있어 외부의 침입자를 역추적하여 흔적을 찾을 수 있음 비밀키 암호화 기법 대칭 암호화 기법,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DES가 있으며,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함 복호화 키를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암호문을 복호화 할 수 있어 복호화 키의 비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호화/복호화의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 크기가 작습니다.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것이 단점입니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함 대표적으로 RSA가 있으며,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습니다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사용되는 키(공개키)는 공개하고, 복호화할 때의 키(비밀키)는 비밀로 합니다. 암호화/복호화의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파일 크기가 큽니다

이상 정보화사회 컴퓨터 보안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반응형